알고리즘 | 유클리드 알고리즘(최대공약수)
유클리드 알고리즘 (최대공약수) 최대 공약수A = aG; (280 = 2810)B = bG; (30 = 310) A-B = aG - bG = (a-b) * G(a-b) 와 b는 역시 서로소 이므로 A-B와 B의 최대 공약수는 역시 G [뺄셈 이용] -> 성능 최악 임의의 두 정수 u와 v를 입력 받는다 v가 u보다 크다면 v와 u의 값을 교환한다 u
유클리드 알고리즘 (최대공약수) 최대 공약수A = aG; (280 = 2810)B = bG; (30 = 310) A-B = aG - bG = (a-b) * G(a-b) 와 b는 역시 서로소 이므로 A-B와 B의 최대 공약수는 역시 G [뺄셈 이용] -> 성능 최악 임의의 두 정수 u와 v를 입력 받는다 v가 u보다 크다면 v와 u의 값을 교환한다 u
MVC 패턴 Model 데이터베이스와의 관계를 담당한다. 클라이언트(웹브라우저)의 요청에서 필요한 자료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거나 수정하여 Controller로 전달한다. DAO(Data Access Object) : sql문으로 질의응답 하는 클래스 DTO(Data Transe Object) : 데이터의 틀을 만들고 저장하는 클래스 View 사용
웹 서버 인터넷 웹브라우저의 요청이 들어오면 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를 찾아서 보내주는 일을 하는 컴퓨터를 지칭한다. 정확히 표현하면 인터넷 사용자의 URL요청을 받아서 그에 해당하는 웹페이지(HTML문서나 이미지)를 찾아서 다시 웹브라우저로 보내주는 것이다. 웹어플리케이션 서버(WAS) 웹어플리케이션 서버는 웹서버에 웹어플리케이션을 합친 것이다.
인증 메시지 인증 전달되는 메시지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무결성 검증) 전송 중 발생할 수 있는 메시지 내용 변경, 메시지 순서 변경, 메시지 삭제 여부를 확인하는 기능 사용자 인증 정당한 가입자의 접속인가를 확인하기 위한 사용자 인증이 컴퓨터 통신망 운영에 필수적 요건 사용자 인증의 유형 type3과 type4를 묶어 type3 생체
접근통제 개요 접근통제 기본 개념 주체 로 불리는 외부에서 접근하는 사람, 시스템 등이 접근 대상이 되는 객체 라고 불리는 시스템에 접근할 때 보안상의 위협, 변조 등과 같은 위험으로부터 객제와 제반 환경을 보호하기 위한 보안대책 접근제어 적절하지 못한 접근을 차단하기 위한 방법과 규칙의 집합체 접근통제 절차 식별 본인이 누구라는 것을 시스템에
키 키 암호기술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키(key)라 불리는 대단히 큰 수가 필요 키 공간(Key-Space)의 크기, 즉 가능한 키의 총 수는 크면 클수록 무차별 공격에 강하다 다양한 키 URL이 https:// 로 시작되는 페이지에 접속하면 웹 서버와 브라우저 사이에서만 SSL/TLS에 의해 암호화된 통신이 수행 됨 세선키 : 통신 때마다 한번
전자서명 전자서명의 형식 공개키 암호방식을 이용한 공개키 서명방식 관용 암호방식을 이용한 중재서명방식 전자서명 과정 송신자는 서명 알고리즘을 이용해서 메시지에 서명을 한다 수신자는 메시지와 서명을 받고 이들에 검증 알고리즘을 적용한다 전자서명의 주요 기능 위조 불가 서명자 인증 부인방지 변경 불가 재사용 불가 전자서명 구조 RSA 전자
PKI PKI(Public-Key Infrastructure) 공개키 알고리즘을 위한 키 관리 구조 제공 서비스 기밀성, 접근제어, 무결성, 인증, 부인방지 구성요소 인증기관(CA, Certification Authority) 인증정책을 수립하고, 인증서 및 인증서 효력정지 및 폐기목록을 관리하며, 다른 CA와의 상호 인증 제공 정책 승인기관(
일방향 해시함수 일방향 해시함수 해시함수는 임의의 길이를 갖는 메시지를 입력으로 하여 고정된 길이의 해시 값 또는 해시 코드라 불리는 값을 출력하는 함수 해시함수 h는 임의의 길이의 문자열을 고정된 길이를 갖는 n비트 문자열로 대응 h: D(정의역) -> R(치역) 다대일 대응 함수 (충돌이 반드시 존재함 의미) 특징 고정길이의 해시값 계
대칭키 암호 현대 블록 암호의 구성요소 확산 평문의 통계적 성질을 암호문 전반에 퍼뜨려 숨김(암호문과 평문사이의 관계를 숨김) 혼돈 암호문과 키의 상관관계를 숨김-> 만족시키기 위해 전치요소(P-박스), 치환요소(S-박스) 설계 P-박스 전치 암호 병렬적 수행 단순(straight) 확장(expansion) n비트를 입력받아 m비트를